반응형

1. 전기차 보조금 정리

2025년 전기차 보조금은 작년에 비하여 보조금 액수가 줄어들었습니다,

작년 기준으로는 보조금을 전액을 받으려면 5500만 원이었지만 올해부터는 5300만 원 미만으로 낮아졌는데요.

그래서 보조금을 지원 최대치로 지원 받으려면 가격대가 낮은 차량을 구매해야 합니다.

전기차 보조금전기차 보조금

2. 작년과 비교한 2025년 보조금 지원 비교표

  2024년 2025년
성능 최대 400만원(중,대형), 최대 300만원(소형), 250만원(초소형) 정액 최대 300만원(중,대형), 최대 250만원(소형), 200만원 정액(초소형) 정액
배터리안전 차량 정보수집장치 장착(20만원) 차량 정보수집장치 장착(20만원)
배터리상태정보제공(20만원)
BMS알림기능(10만원)
안전

계수
신설 제조물 책임보험 미가입시
충전량 정보 미제공시 0적용(유예기간은 제조몰 보험책임 6개월, 충전량 정보 12개월)
혁신기술 V2L(20만원), 고속충전(30만원) V2L(20만원), 고속충전(30만원)
인센티브 다자녀가구 10% 추가지원(지자체에 다름) 2자녀 100만원, 3자녀 200만원, 4자녀 이상 300만원 추가지원
차상위 이하 계층 20% 추가지원 차상위 이하 계층 20% 추가 지원
청년, 생애 첫구매인 경우 20% 추가 지원
- BMS 업데이트 불가차량 폐차후 전기차 신차 구매 시 20만원
* '26.12.31.까지
차량 가격 할인 시 할인액의 20%만큼 해당 차종 추가보조금에 비례하여 추가지급 차량 가격 할인 시 할인액의 20 ~ 40%만큼 해당 차종 추가보조금에 비례하여 추가지급

 

3. 작년과 동일한 사항

  • 저공해차 보급 목표 달성: 최대 140만 원
  • 급속충전기 일정 수 이상 설치: 최대 40만 원
  • V2L(차량에서 외부로 전력 내보낼 수 있는 기능) 탑재: 20만 원
  • 고속 충전 가능: 최대 30만 원

전기차 보조금전기차 보조금

 

4. 청년의 첫 구매, 다자녀 가구 지원

  • 청년 생애 첫 구매 (19세~34세): 전기차를 처음 구매하는 청년에게 국비 지원액의 20% 추가 지원
  • 다자녀 가구 (2명 이상 자녀) ※ 2자녀 100만 원, 3자녀 200만 원, 4자녀 이상 300만 원 추가지원
  • 차상위 이하 계층: 전기차 구매 시 국비 지원액의 20% 추가 지원

 

전기차 보조금전기차 보조금

5. 전기차 회사의 책임과 안전성 강화

2025년부터는 제조사의 책임보험을 의무로 들어 책임보험을 들어야 하며, 이에 반할 시 보조금 지급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이러한 조치로 인하여 소비자를 보호하며, 전기차에서 일어날 수 있는 결함으로 인한 사고에 대해 제조사가 책임을 질 수 있도록 마련되었습니다.

 

6. 청년, 생애 첫 구매 지급 요건

  • 만 19세 이상 만 34세 이하의 청년
  • 생애 첫 차로 전기차를 구매(기존 차량 보유자 포함 되지 않는다)
  • 25년 1월 이후 구매자에게 적용

 

전기차 보조금 지원 조회
전기차 보조금전기차 보조금
전기차 보조금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