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전기차 보조금 정리
2025년 전기차 보조금은 작년에 비하여 보조금 액수가 줄어들었습니다,
작년 기준으로는 보조금을 전액을 받으려면 5500만 원이었지만 올해부터는 5300만 원 미만으로 낮아졌는데요.
그래서 보조금을 지원 최대치로 지원 받으려면 가격대가 낮은 차량을 구매해야 합니다.
2. 작년과 비교한 2025년 보조금 지원 비교표
2024년 | 2025년 | |
성능 | 최대 400만원(중,대형), 최대 300만원(소형), 250만원(초소형) 정액 | 최대 300만원(중,대형), 최대 250만원(소형), 200만원 정액(초소형) 정액 |
배터리안전 | 차량 정보수집장치 장착(20만원) | 차량 정보수집장치 장착(20만원) 배터리상태정보제공(20만원) BMS알림기능(10만원) |
안전 계수 |
신설 | 제조물 책임보험 미가입시 충전량 정보 미제공시 0적용(유예기간은 제조몰 보험책임 6개월, 충전량 정보 12개월) |
혁신기술 | V2L(20만원), 고속충전(30만원) | V2L(20만원), 고속충전(30만원) |
인센티브 | 다자녀가구 10% 추가지원(지자체에 다름) | 2자녀 100만원, 3자녀 200만원, 4자녀 이상 300만원 추가지원 |
차상위 이하 계층 20% 추가지원 | 차상위 이하 계층 20% 추가 지원 청년, 생애 첫구매인 경우 20% 추가 지원 |
|
- | BMS 업데이트 불가차량 폐차후 전기차 신차 구매 시 20만원 * '26.12.31.까지 |
|
차량 가격 할인 시 할인액의 20%만큼 해당 차종 추가보조금에 비례하여 추가지급 | 차량 가격 할인 시 할인액의 20 ~ 40%만큼 해당 차종 추가보조금에 비례하여 추가지급 |
3. 작년과 동일한 사항
- 저공해차 보급 목표 달성: 최대 140만 원
- 급속충전기 일정 수 이상 설치: 최대 40만 원
- V2L(차량에서 외부로 전력 내보낼 수 있는 기능) 탑재: 20만 원
- 고속 충전 가능: 최대 30만 원
4. 청년의 첫 구매, 다자녀 가구 지원
- 청년 생애 첫 구매 (19세~34세): 전기차를 처음 구매하는 청년에게 국비 지원액의 20% 추가 지원
- 다자녀 가구 (2명 이상 자녀) ※ 2자녀 100만 원, 3자녀 200만 원, 4자녀 이상 300만 원 추가지원
- 차상위 이하 계층: 전기차 구매 시 국비 지원액의 20% 추가 지원
5. 전기차 회사의 책임과 안전성 강화
2025년부터는 제조사의 책임보험을 의무로 들어 책임보험을 들어야 하며, 이에 반할 시 보조금 지급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이러한 조치로 인하여 소비자를 보호하며, 전기차에서 일어날 수 있는 결함으로 인한 사고에 대해 제조사가 책임을 질 수 있도록 마련되었습니다.
6. 청년, 생애 첫 구매 지급 요건
- 만 19세 이상 만 34세 이하의 청년
- 생애 첫 차로 전기차를 구매(기존 차량 보유자 포함 되지 않는다)
- 25년 1월 이후 구매자에게 적용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년운세 무료보기, 타로, 궁합, 사주 (0) | 2025.02.14 |
---|---|
국가장학금 신청, 금액, 지원대상, 소득구간 (0) | 2025.02.12 |
유튜브 프리미엄 우회, 유튜브 우회, VPN우회, 그레이태그 (0) | 2025.02.11 |
민정수석 부활, 김주현 전 법무차관, 윤석열 대통령, 공약, 제 2의 우병우 (0) | 2024.05.08 |
정몽규 회장, 축구, 축구지도자 협회 성명, 올림픽 본선 진출 실패 (0) | 2024.05.08 |